동물병원을 운영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경쟁 동물병원들의 마케팅이 궁금해집니다. 특히 SNS나 블로그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동물병원들을 보면 '저런 건 어떻게 하는 거지?'라는 생각이 들죠. 하지만 막상 경쟁사 분석을 하려고 하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무엇을 봐야 할지 막막합니다.
오늘은 동물병원 실무진이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경쟁 동물병원 마케팅 분석 방법을 정리해드릴게요. 복잡한 도구나 전문 지식 없이도 일주일에 30분 정도만 투자하면 우리 동물병원 마케팅에 도움이 되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어요.
어떤 동물병원을 분석할 것인가
먼저 분석할 동물병원을 정해야겠죠. 무작정 유명한 병원들을 보는 것보다는 우리 상황에 맞는 병원들을 선택하는 게 중요해요.
지역 내 직접 경쟁 동물병원부터 시작해보세요. 우리 동물병원 반경 3km 내에 있으면서 진료과목이나 병원 규모가 비슷한 곳들, 이 곳들이 보호자들이 실제로 우리 동물병원 대신 갈 수 있는 선택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런 병원들의 마케팅을 보면 '아, 같은 지역 보호자들에게는 이런 어필이 통하는구나'를 알 수 있어요.
그 다음은 벤치마킹하고 싶은 동물병원을 한두 곳 정해보세요. 지역은 달라도 마케팅을 잘한다고 소문난 동물병원이나, 우리 병원이 지향하고 싶은 이미지를 가진 동물병원들이면 좋겠네요. 이런 동물병원들을 보면 '이런 방식도 있구나' 하는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한 번에 너무 많은 동물병원을 분석하려 하지 마세요. 처음에는 3-4곳 정도로 시작해서 꾸준히 관찰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에요.
인스타그램에서 무엇을 봐야 할까
요즘 동물병원들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플랫폼이 인스타그램이죠. 여기서 봐야 할 포인트들을 정리해드릴게요.
프로필부터 찬찬히 살펴보세요.
팔로워 수나 게시물 수도 중요하지만, 프로필 소개 문구를 유심히 보세요. 어떤 키워드로 자신들을 어필하는지, 어떤 메시지를 가장 앞에 내세우는지 파악할 수 있거든요. 하이라이트 구성도 중요한 힌트예요. 어떤 카테고리로 정보를 정리했는지 보면 그 동물병원이 보호자들에게 어떤 정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알 수 있어요.
최근 한 달간 게시물들을 쭉 훑어보세요.
진료 사례, 동물병원 일상, 반려동물 정보, 이벤트나 홍보 등 어떤 비율로 콘텐츠를 올리는지 파악해보세요. 어떤 게시물에 좋아요나 댓글이 많이 달렸는지도 눈여겨보면 좋겠어요. 보호자들이 어떤 콘텐츠에 더 관심을 보이는지 알 수 있거든요.
사진과 영상 비율, 텍스트 톤앤매너도 중요해요.
친근한 말투를 쓰는지, 전문적인 정보 전달에 집중하는지, 유머를 섞어서 쓰는지 등등 말이에요. 해시태그 사용 패턴도 보세요. 어떤 키워드들을 주로 쓰는지, 지역명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참고할 수 있어요.
블로그 채널 들여다보기
네이버 블로그도 확인해보세요. 블로그는 인스타그램보다 더 전문적인 정보나 자세한 설명을 다루는 경우가 많아요.
포스팅 주제와 빈도를 먼저 파악해보세요.
한 달에 몇 번 정도 포스팅하는지, 주로 어떤 카테고리의 글을 쓰는지 보면 됩니다. 진료 정보를 많이 다루는지, 동물병원 소식 위주인지, 아니면 반려동물 케어 팁 같은 정보성 글이 많은지 말이에요.
블로그 글의 공감 수와 댓글 수도 참고해보세요.
어떤 주제의 글이 보호자들에게 인기가 있는지 알 수 있거든요. 특히 검색을 의식한 키워드 사용을 하고 있는지도 봐두면 좋겠어요.
네이버 예약과 지도 정보도 놓치지 마세요.
네이버 예약을 사용하고 있다면 어떤 시간대로 설정해뒀는지, 예약 관련 안내 문구는 어떻게 써뒀는지 확인해보세요. 리뷰 관리도 중요한 포인트예요. 전체 리뷰 개수와 평점, 최근 몇 개월간 리뷰 추이를 보고, 댓글을 얼마나 성실하게 다는지, 어떤 톤으로 답변하는지도 참고할 만해요.
어떻게 분석 결과를 정리할까
매주 간단하게라도 기록을 남겨보세요.
각 동물병원이 이번 주에 올린 포스팅 개수와 주요 내용, 반응 정도를 간단히 적어두면 됩니다. 특이한 시도나 새로운 해시태그를 썼다면 그것도 메모해두세요.
한 달에 한 번 정도는 조금 더 자세히 정리해보세요.
이번 달 경쟁 병원들이 공통적으로 다룬 키워드가 있다면 그것도 트렌드로 볼 수 있어요. 겨울철이면 "겨울철 관리", 봄이면 "예방접종" 이런 식으로 계절에 맞는 키워드들이 많이 나올 테니까요.
인기 있었던 콘텐츠 유형도 정리해보세요.
비포/애프터 사진이 반응이 좋았는지, 동물병원 일상을 보여주는 브이로그 스타일이 인기였는지, 아니면 반려동물 케어 팁 같은 정보성 콘텐츠가 좋았는지 파악해두면 우리 동물병원 콘텐츠 기획할 때 도움이 될 거예요.
우리 동물병원에는 어떻게 적용할까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 동물병원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것들부터 찾아보세요. 인스타그램 프로필 소개 문구를 개선한다거나, 하이라이트 카테고리를 재구성하는 것처럼 당장 할 수 있는 것들이 있을 거예요. 해시태그 조합을 업데이트하는 것도 간단하면서 효과적인 방법이에요.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한 것들도 있겠죠. 새로운 콘텐츠 카테고리를 도입한다거나, 포스팅 빈도를 조정한다거나, 사진이나 영상 퀄리티를 개선하는 것들 말이에요. 이런 것들은 계획을 세워서 단계적으로 적용해보세요.
가장 중요한 건 우리 동물병원만의 차별화 포인트를 찾는 거예요. 경쟁 동물병원들이 다루지 않는 주제나, 우리 동물병원 특성을 살린 콘텐츠, 우리만의 톤앤매너를 개발하는 거죠. 다른 동물병원 것을 그대로 따라 하는 게 아니라, 참고해서 우리 상황에 맞게 응용하는 게 핵심이에요.
분석도 좋지만, 실행이 더 중요해요
경쟁 분석은 분명히 우리 동물병원의 마케팅 방향을 잡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분석에만 매몰되지 말고, 우리 동물병원만의 색깔을 찾아 꾸준히 실행하는 것이 더 중요해요.
다른 동물병원이 하는 걸 무작정 따라 하기보다는, 우리 동물병원의 상황과 특성에 맞게 응용해서 적용해보세요. 작은 변화라도 꾸준히 시도하다 보면, 보호자들이 우리 동물병원을 기억하고 재방문하는 이유가 하나씩 늘어날 거예요.
다음 주부터 경쟁 동물병원 모니터링을 시작해보는 건 어떨까요? 처음에는 부담스럽게 생각하지 마시고, 일주일에 30분 정도만 투자해서 천천히 시작해보세요. 몇 달 후에는 우리 팀만의 마케팅 인사이트가 쌓여있을 거예요.